
알고리즘 시간복잡도와 Big-O 쉽게 이해하기
2021. 2. 24. 15:01
DevLog/Algorithm
삼성역에서 택시를 타고 강남역으로 향했는데 30분 걸렸다. 구글에서 알려주는 최단경로로 갔더라면 15분내에 도착할 것이다. 레스토랑을 예약해서 가는 경우라던지 친구와 약속 시간을 잡은 경우 우리에게는 시간은 항상 소중하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위한 노력을 의식적으로 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도 시간복잡도가 가장 낮은 알고리즘을 채택해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있다. 택시를 타고 삼성역까지 가는 절차를 알고리즘이라고 하는데 이때 수행하는 연산의 수를 시간복잡도로 나타낸다. 택시를 타고 강남역까지 가는 과정을 알고리즘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function TakeTaxy(from, to) { /* 1. 차량에 탑승한다. 2. from에서 to까지 최단거리 루트를 선택한다. 3...